활동
국제협력사업
검색
연구소 설립3주년 기념 특별강연회
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3주년 기념 특별강연회가 아래와 같이 있었습니다.강사: Anthony Reid 교수 (싱가포르 국립대 Asia Research Institute 소장)주제: family names in the social history of southeast asia일시: 2007년 5월 19일 (토) 3~5pm장소: 서울대 16동(사회과학대) 448-2호 (인류학실습실)후원: 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금번 행사는 한국...
제6차 아세안포럼
6차 ASEAN Forum제6차 ASEAN Forum이 아래와 같이 개최되었습니다.1. 장소: 서강대 마태오관 402호2. 일시: 2007년 2월 24일(토) 3-6pm3. 주제: Islamic Radicalism in Southeast Asia3. Keynote Speakers 1) Prof. Worawit Baru (Prince of Songkla University, Thailand) 2) Mr. Kahlid Jaafar (Ececutive Director,...
제 3차 코리아포럼
제 3차 코리아포럼이 아래와 같이 라오스에서 개최되었습니다. 3rd Korea Forum (Roundtable)1. Time: 10 January 20072. Venue: Don Chan Palace Hotel, Vientiane, Laos 3. Participants1) 12 SEASREP members2) 4 KISEAS members Sa Myung PARK (Chairman) &...
제 5차 아세안포럼
한국동남아연구소가 주관하는 제 5차 아세안 포럼이 2006년 12월 27일 열렸습니다. 이번 포럼에서는 최근 APEC 총회를 개최하고 WTO에 가입하는 등 국제사회로 부터주목을 받고 있는 베트남에 관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. 주한 베트남 대사인 Mr. Pham Tein Van을 초청하여 WTO와 베트남이라는 주제하에Pham 대사의 기조 연설을 듣고, 한...
제 4차 아세안포럼
제 4차 아세안 포럼이 5월 13일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. 이번 포럼에는 전 말레이시아 부총리인 안와르 이브라힘과 완 아지자 민중정의당 총재, 띠안 추아 민중정의당 공보수석이 참석해주셨습니다. 안와르 이브라임 전 부총리는 1998년의 경제 위기와 그에 따른 정치적 격변에 관한 강연을 들려주셨습니다. 또 띠안 추아 공보수석은 말레...
KBS 국제방송 <아민 라이스 인터뷰 내용>
KBS 국제방송 <아민 라이스 인터뷰 내용>이 인터뷰는 3월 31일 KBS 국제방속 ‘서울리포트’ 에서 정규 방송된 내용입니다.확인을 하시려면 다음의 과정을 거치시기 바랍니다.1) http://world.kbs.co.kr2) 라디오 카...
제 3차 아세안포럼
제 3차 아세안 포럼 Political Reform and Prospect for Democratization in Indonesia &n...
제 2차 코리아포럼
9) 제 2차 코리아 포럼제 2차 코리아 포럼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2006년 2월 14,15일에 열렸습니다. 이번 포럼에서는 “Recent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s in Korea”라는 주제로 총 6개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. 한국에서는 윤진표 소장과 박사명 이사장을 비롯하여 총 4명의 참가자(서경교, 김종길, 김동엽, 유석춘...
제 1차 코리아포럼
8) 제 1차 코리아 포럼SEASREP(Southeast Asian Area Studies Regional Exchange Programme) 10주년 기념 컨퍼런스가 2005년 12월 8일에서 9일 양일간에 걸쳐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렸습니다. 먼저 첫날에는 “Southeast Asia; Ancient and Continuing Global Crossroads”라는 주제로 총 15개의 패널 발표가 진행되었고, 이튿날에는 “So...
제 2차 아세안포럼
7) 제 2차 아세안 포럼 EASREP(Southeast Asian Area Studies Regional Exchange Programme)가 공동주관하는 제 2차 아세안 포럼이 열렸습니다. “동아시아의 협력과 통합: 제 1차 동아시아 정상회의의 함의”라는 주제하에 네명의 주한 동남아국가 대사 (필리핀, 말레이시아, 태국, 베트남), 그리고 동남아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...